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펭귄
- 가족
- 육아일기
- 귀뚜라미
- 원주물놀이장
- 만화
- 점
- 과학
- 고1통합과학
- 개구리
- 어린이집교육
- 기록
- 고1통합과학공부
- 고등학교통합과학
- 일상이야기
- 일상과학
- 일기
- 원주혁신도시맛집
- 과학일상
- 원주초밥
- 육아
- 일상툰#네컷만화 #가족 #일상 #기록 #일상이야기 #육아일기 #육아 #만화 #정오가족
- 네컷만화
- 일상툰
- 통합과학
- 과학호기심
- 다이어트결심
- #
- 가족이야기
- 기미
- Today
- Total
목록일상과학 (21)
아장아장 원주맘

거미줄은 거미의 복부에 있는 특수한 기관인 '거미샘'에서 생성됩니다. 이 거미샘은 다양한 종류의 거미줄을 만들 수 있는데, 이는 거미의 종류와 필요에 따라 달라집니다. 거미는 거미줄을 만들기 위해 몸을 이동시키며, 샘에서 분비된 액체가 공기 중에서 급속도로 굳어져 실이 됩니다. 이 실을 거미는 매우 정교하게 조절하며, 사냥이나 보금자리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거미줄을 만듭니다. 거미줄의 구성은 어떻게 될까? 거미줄은 기본적으로 끈적거리지 않는 발판실과 세로실, 끈적이는 가로실을 사용하여 거미줄을 만듭니다. 곤충이나 벌레가 거미줄에 휘말려 빠져 나오지 못하는 것은 가로실 때문입니다. 그러나 거미는 몸에서 기름과 같은 물질이 나오기 때문에 가로줄의 점액에 걸려들지 않고 거미줄 위를 마음대로 돌아다닐 수 있습니..

오잉. 펭귄 하면 차가운 이미지가 떠오르지 않으신가요?? 저만 그런가요 ;; ㅋㅋ 지난 포스팅. [펭귄이 남극에만 사는 이유]에서 펭귄의 서식지 분포를 보았습니다. 옛적부터 남반구에서 진화를 보였던 펭귄이기에 펭귄은 뉴질랜드, 호주, 아프리카 등 남반구 지역에 살고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래서 아프리카 펭귄에 대해서, 궁금증을 해결해 보고자 합니다. 아프리카 펭귄, 넌 누구니? ■ 외모: 아프리카 펭귄은 검은색 등과 흰색 배, 그리고 흰색과 검은색이 섞인 얼굴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의 가장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가슴과 배 주위에 있는 검은색 '마구잡이식' 줄무늬와 귀 부분에 있는 작은 핑크색 패치입니다. ■ 서식지: 이 펭귄들은 주로 남아프리카와 나미비아의 해안선을 따라 서식합니다. 그들은 해안의 바위..

북극은 북극곰, 남극은 펭귄 펭귄은 왜 북극이 아닌, 남극에만 살고 있을까요? 펭귄이 남극에만 사는 이유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고 합니다. ■ 기원과 진화: 펭귄은 수백만 년 전 남반구에서 진화했습니다. 이들은 주로 남극과 주변 남반구의 섬들, 그리고 남아메리카, 남아프리카, 호주와 뉴질랜드의 연안 지역에 퍼져 살게 됐고, 북반구로 퍼져 나가지 않은 것은 그들이 진화한 지역과 생태계에 잘 적응했기 때문이지요. ■ 이동의 한계:대양을 건너 북반구로 이동하는 것은 펭귄에게 큰 도전입니다. 펭귄은 비행할 수 없고, 긴 거리를 헤엄쳐 이동하는 데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펭귄은 원래의 서식지인 남반구에 머무르게 되는 겁니다. ■ 기후 조건: 펭귄은 추운 날씨에 잘 적응했고, 남극의 극한 환경에 매우 잘..

지구온난화는 어릴적부터 많이 들어왔을 겁니다. 이젠 지구 온난화를 넘어서, 지구 열탕화!라고 해야 한다. 라고들 하지요. 흔히 생각하기에 지구 온난화는 지구가 더워지는거라고 생각하기에 겨울엔 따뜻하지 않나? 라고 생각하는데 전혀 아닙니다. 지구온난화와 한파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먼저, 지구 온난화는 지구의 평균 온도가 점점 더워지는 현상입니다. 이는 주로 사람들이 화석 연료를 태우고, 공장을 운영하고, 자동차를 많이 사용하면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와 다른 온실가스를 공기 중에 배출하고, 이 온실가스들이 태양으로부터 오는 열을 가두기 때문에 지구가 점점 더워지는 겁니다. 그런데, 이렇게 지구가 더워지면서 날씨 패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지구 온난화는 극지방의 얼음을 녹이고, 해류와 대기 순환에..

4살아이에게 동화책을 읽어주는데 매머드와 같이 사는 아이가 나왔다. "엄마 매머드가 뭐야? 코끼리 같아" 비슷하게 생겼는데 현재 매머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궁금했다. 매머드와 코끼리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 시대 : 매머드는 약 400만 년 전부터 4천 년 전까지 존재했던 멸종된 동물이고. 코끼리는 오늘날에도 살아있는 동물이지요. ◆ 모습: 매머드는 긴 털과 큰 상아를 가졌으며, 일부 종은 현재의 코끼리보다 더 컸습니다. 코끼리는 털이 거의 없고, 상아의 길이와 형태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매머드의 상아는 더 길고 나선형으로 구부러져 있는 반면, 현대 코끼리의 상아는 비교적 직선적이거나 약간 구부러진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 기후 적응: 매머드는 추운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 두꺼운 털을 가졌습..